사진과 동영상이 안보이시면 "차단된 콘텐츠 표시"를 클릭해주세요! |
|
|
Dive In: 기술로 연결, 해결, 발견하며 미래로 뛰어들다!
DX News letter 25년 01월호
박진홍 ✦ 디지털 혁신(DX)팀
2025년 1월 2일 |
|
|
어느덧 2024년도 끝나고 2025년이 밝았습니다.🌅 연초는 한 해를 되돌아보고, 다가온 새해를 준비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이맘때의 설렘과 함께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기대도 커지기 마련이죠.
이번 뉴스레터는 새해를 맞아, 곧 시작될 CES 2025를 미리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 합니다. CES는 매년 혁신적인 기술과 트렌드를 선보이며, 전 세계가 주목하는 기술 박람회로 자리 잡아왔습니다. 금번 CES 2025는 ‘연결하고, 해결하고, 찾아내는 것에 뛰어들자’(CONNECT, SOLVE, DISCOVER, DIVE IN)'라는 주제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 |
|
|
DIVE IN to CES 2025_CES 공식 Youtube 채널 |
|
|
이번 뉴스레터를 통해 기술이 어떻게 우리 일상을 변화시키고, 또 어떤 문제를 해결하며, 새로운 기회를 열어갈지 함께 탐구해 보시죠.
2025년에도 여러분의 도전과 성공을 응원하며, CES가 제시할 혁신적인 아이디어들이 여러분의 목표에 영감을 줄 수 있기를 바랍니다. 🙌 |
|
|
*CES : Consumer Electronics Show |
|
|
🎮 CES 2025: CONNECT, SOLVE, DISCOVER, DIVE IN |
|
|
CES 2025는 2025년 1월 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의 LVCC(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됩니다. 올해는 약 17만 명의 참관객과 4,500개 이상의 기업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혁신적인 기술과 아이디어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
|
|
2025.1.7 - 10 │ Las Vegas Convention Center & Venetian Expo, 라스베가스, 미국 |
|
|
CES는 매년 기술과 산업의 미래를 엿볼 수 있는 자리입니다. 올해도 AI(인공지능)와 지속 가능성(Sustainability)이 핵심 키워드로 자리 잡을 예정이죠. 특히, AI가 헬스케어, 에너지사업, 모빌리티사업 등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조명할 예정입니다. 지속 가능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으며,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기술 혁신과 재활용 가능한 소재를 활용한 제품들이 주목받을 전망입니다. 또한, 퀀텀 컴퓨팅과 같은 미래 기술이 실제 적용 가능한 사례로 소개되며, 기술적 경계를 허무는 발표들이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CES 2025는 기술과 인간의 삶이 연결되고, 더 나은 미래를 설계할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
|
|
참고로, CES2024에서는 약 13만 8천명 정도가 전시를 참관했고, 총 150여개국이 참여를 했으며, 기업은 4,312개였고, 이 중 스타트업은 1,442개이였습니다. |
|
|
🖥️ CES 2025의 핵심 트렌드: AI와 지속 가능성 |
|
|
🧩 게리 샤피로 CTA 회장은 “이러한 기술 혁신들이 어떻게 융합되어 인간 경험을 개선하고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 가는지 보여줄 것”이라고 강조하며, 기술이 미래를 주도할 주요 동력임을 밝혔습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트렌드(Topic)가 있을지 살펴보겠습니다. |
|
|
게리 샤피로 CTA CEO의 CES2025 소개 |
|
|
Generative AI는 데이터를 활용해 창의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내며, 예술, 콘텐츠,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맞춤형 고객 경험 솔루션과 창작 도구가 소개될 예정이며, AI는 단순히 질문에 응답하는 것을 넘어 사용자 요구를 예측하고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특히, AI가 산업별로 특화된 문제를 해결하며,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방법들을 선보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
|
|
I 차량기술과 첨단 모빌리티 : 미래 이동수단의 청사진 |
|
|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기술들은 차량을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도시 인프라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며 교통 혼잡을 줄이고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지능형 플랫폼으로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지속 가능한 에너지 사용과 탄소 배출 감소, 그리고 사용자 경험의 혁신을 동시에 이루며, 미래 도시와 모빌리티가 조화롭게 연결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습니다. |
|
|
CES 2025에서는 AI 기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맞춤형 건강 관리 시스템이 주요 화두가 될 예정이며, 이는 의료의 접근성과 효율성을 한층 높일 것입니다.
또한, 헬스케어 기술은 정신 건강 관리, 만성 질환 모니터링 등 점점 더 세분화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이 단순히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넘어 개인화된 치료와 예방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기술을 통해 더 건강하고 안전한 삶을 지원하려는 전 세계적인 움직임을 반영합니다. |
|
|
이번 행사에서 에너지 효율 기술, 재활용 소재 제품, 그리고 탄소 배출 감소 솔루션이 중심에 서며, 파나소닉과 삼성전자는 이러한 혁신을 선보일 계획입니다.
특히 지속 가능성을 기반으로 한 기술들은 소비자들에게 친환경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개인의 생활방식을 변화시키고 전 세계적인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업들이 단순히 제품을 판매하는 것을 넘어,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데 동참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
|
CES 2025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각각 29개, 24개의 혁신상을 수상하며 기술력을 빛낼 예정입니다. 또한, 스타트업 중에서는 스카이랩스는 스마트 반지로 헬스케어 분야에서 혁신상을 받으며 주목받았습니다. 한국 기업들은 AI와 지속 가능성 기술로 글로벌 무대에서 활약하고 있습니다. |
|
|
1. AI: LG전자의 AI 홈 허브 'LG 씽큐 온(ThinQ ON)' |
|
|
가정 내 모든 가전제품과 IoT 기기를 하나로 연결해 24시간 원활한 작동을 지원하는 허브 역할을 합니다. 단순히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넘어, LG 씽큐 온은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학습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일정을 미리 파악해 아침에는 알람과 함께 블라인드를 열어 햇빛을 들이고, 퇴근 시간이 되면 집안의 온도와 조명을 적절히 조절하여 편안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또한, 냉장고와 연동해 보유 중인 식재료를 분석하고, 이를 활용한 요리 레시피를 추천하는 기능은 요리 준비를 간소화하고 즐겁게 만들어 줍니다. 이러한 기술은 단순한 편리함을 넘어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경험을 선사하며 스마트 홈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
|
2. 차량기술과 첨단 모빌리티 : 에스오에스랩의 'ML-U’ |
|
|
에스오에스랩은 고차원 라이다 센서 'ML-U'로 첨단 모빌리티 부문에서 혁신상을 수상하며, 자율주행 기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이 기술은 기존의 라이다와 카메라 센서 간 데이터 보정 문제를 해결하며, 별도의 카메라 센서 없이도 정밀한 환경 인식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차 및 스마트 모빌리티 산업에서 보다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에스오에스랩은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모빌리티 시장에서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며, 자율주행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
|
|
3. 헬스케어: 스카이랩스의 스마트 반지 ‘카트 비피 프로’ |
|
|
스카이랩스는 CES 2025에서 혁신적인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카트 비피 프로(CART BP PRO)'를 선보입니다. 손가락에 착용하는 스마트 반지 형태의 이 기기는 혈압, 심박수, 산소포화도 등 다양한 건강 데이터를 24시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합니다. 특히, AI 기반 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심혈관 질환 예방과 관리에 탁월한 성능을 제공합니다.
스카이랩스는 기존의 건강 관리 방식을 뛰어넘어, 더 간편하면서도 정밀한 헬스케어 솔루션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이 기기는 단순한 웨어러블을 넘어 사용자에게 지속적인 건강 관리의 동반자로 자리 잡으며, 개인의 건강을 능동적으로 지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
|
|
스마트 반지와 화면이 연결된 새로운 웨어러블 기기 |
|
|
4. 지속 가능성: 삼성전자의 'AI 비전 인사이드' 기능 |
|
|
삼성전자는 환경과 소비자 편의를 동시에 고려한 획기적인 기술, 'AI 비전 인사이드' 기능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이 기술은 냉장고 내부를 AI 카메라로 스캔하여 보관 중인 식재료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실시간으로 식재료의 유통기한과 상태를 모니터링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유통기한이 임박한 식재료를 놓치지 않고 알림을 받을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이 기술을 통해 지속 가능한 소비를 촉진하고, 환경 문제 해결에도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단순히 기술적 혁신을 넘어서 환경과 미래 세대를 위한 책임 있는 기업 활동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
|
|
한국 기업들은 CES 2025에서 AI, 지속 가능성, 헬스케어라는 주요 트렌드를 통해 기술력과 혁신성을 전 세계에 알릴 예정입니다. 이번 CES는 한국의 기술이 글로벌 시장에서 어떤 반향을 일으킬지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 |
|
|
🏗️ CES 2025, 건설 기술의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다 |
|
|
CES 2025에서 건설 분야의 혁신 기술 또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포스코이앤씨는 스마트건설 전문기업 아이티원과 공동으로 개발한 '콘크리트 시공이음부 요철생성 로봇'으로 로봇 분야 혁신상을 수상하며 기술력을 세계적으로 인정받았습니다.
이 로봇은 댐, 교량, 초고층 건축물 등 주요 구조물에서 콘크리트 층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덜 굳은 콘크리트 표면에 요철을 생성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 과정은 작업자 숙련도에 따른 편차를 줄이고, 기존 수작업 대비 작업 시간을 최대 85% 단축할 뿐만 아니라, 균일한 요철을 만들어 구조물의 안정성과 품질을 크게 향상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
|
|
또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CES 2025에 국내 건설기술 스타트업 7개사와 함께 공동관을 구성하여 참가하며, 글로벌 시장에 한국의 스마트 건설기술을 소개하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번 공동관은 스마트 건설기술의 최전선에 있는 한국의 기술력을 선보이기 위한 자리로, AI 기반 설계 최적화 기술, IoT 센서를 활용한 실시간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지속 가능한 건축 자재 기술 등 첨단 솔루션이 전시될 예정입니다.
특히, IoT와 AI를 활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스마트 자재 관리 솔루션, 그리고 친환경 건축 자재 기술 등이 주요 사례로 꼽힙니다. 예를 들어, IoT 센서를 통해 건설 현장의 온도, 습도, 안전 위험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기술은 특히 주목받고 있습니다. ✨ |
|
|
CES는 매년 놀라운 기술과 혁신을 통해 우리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CES 2025는 단순한 전시회를 넘어, 기술이 우리 삶과 산업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무대가 될 것입니다.
올해 CES에서 선보일 혁신적인 기술과 솔루션들은 단순한 미래의 가능성을 넘어, 지금 바로 실현 가능한 현실적인 변화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기술이 단순히 혁신을 넘어, 사람과 환경, 그리고 산업을 연결하고, 진정한 문제 해결을 위한 도구가 되고 있습니다. CES 2025는 그 가능성을 직접 확인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는 가장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여러분은 이번 CES 2025에서 어떤 혁신이 가장 기대되시나요? 😊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기술과 고객 중심의 혁신이 우리 삶을 어떻게 바꿔갈지 함께 지켜보시죠! 🚀 |
|
|
🐍 2025년 푸른 뱀의 해, 트렌드는 어떤게 있을까요? |
|
|
2025년은 을사년(乙巳年)으로, '푸른 뱀의 해'를 의미합니다.
뱀은 지혜롭고 예민한 감각을 가진 동물로, 『트렌드 코리아 2025』는 이를 모티브로 삼아 변화와 민첩함을 상징하는 10대 소비 트렌드 'SNAKE SENSE'를 제시했습니다.
이는 푸른 뱀의 상징처럼 예리한 통찰력과 신속한 적응이 필요한 시대를 반영하며, 소비자와 기업 모두 변화의 흐름을 이해하고 대비해야 함을 시사합니다. |
|
|
🤖 GS건설 DX팀, AI로 선보이는 스마트 건설의 미래 |
|
|
2025년 푸른 뱀의 해는 민첩한 적응과 혁신이 중요한 해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GS건설의 디지털혁신(DX)팀은 AI 기술을 활용해 건설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GS건설의 시공 기준을 쉽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는 자이북, 외국인과의 원활한 소통을 도모하는 자이보이스, 건설 현장 모든 자재를 연결하는 플랫폼 지건마켓(가칭) 등 다양한 AI 기반 또는 디지털 솔루션을 통해 스마트 건설 환경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DX팀의 AI와 스마트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더 많은 이야기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
GS건설이 만들어가는 여정에 많은 관심과 응원을 부탁드리며, 여러분의 성원 속에서 더욱 큰 변화를 이끌어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
|
|